후덜ㄹ 2025. 5. 20. 11:19

Ⅰ 개요

유해인자로부터 근로자의 건강 보호,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 위해 작업환경측정 실시 및 적절한 사후관리 필요

Ⅱ 작업환경측정 대상

  1. 화학적인자 : 황산, 암모니아, 황화수소 등 183종
  2. 물리적인자 : 소음(80db)이상, 고열 2종
  3. 분진 : 광물성 분진, 용접 흄, 석면분진 등 7종

Ⅲ 작업환경측정 실시

  1. 최초 : 대상공종 발생 30일 이내
  2. 정기 : 최초 이후 매 반기 마다
  3. 정기 측정 주기의 변경
    • 단축(분기 1회 이상)
      • 발암물질 기준초과 또는
      • 기타 화학물질 2배 초과
    • 연장(1년 1회 이상)
      • 최근 1년 공정, 유해인자 변경 없고
      • 최근 2회 노출기준 미만

Ⅳ 측정방법

  1. 개인시료 채취방법
  2. 지역시료 채취방법
  3. 검지관 방식

Ⅴ 측정원칙

  • 예비조사
  • 정상작업 중에 실시
  • 개인시료 채취방법 우선적용

Ⅵ 작업환경측정 개선대책(노출기준 초과 시)

  1. 근로자 건강진단
  2. 근로자 건강장해 예방 프로그램
  3. 시설, 설비 개선(조명, 환기 등)
  4. 안전진단, 개선계획 등